자활사업개요
자활사업 목표
- 근로능력자의 기초생활을 보장하는『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』를 도입하면서 근로역량 배양 및 일자리 제공을 통한 탈빈곤 지원
- 자활사업을 통해 근로능력 있는 저소득층이 스스로 자활할 수 있도록 자활능력 배양, 기능습득 및 근로기회 제공
자활사업 대상자
- 조건부 수급자(자활사업 참여를 조건으로 생계급여를 지급받는 수급자)
- 자활급여특례자
- 일반수급자
- 특례수급가구의 가구원
- 차상위자
- 근로능력이 있는 시설수급자
질병·부상자에 대한 근로능력 판정
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
18세 이상 64세 이하의 수급자로서 다음 근로능력이 없는 수급자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[2020년 기준 만18세(2002년생) 생일이 속한 달의 다음 달부터 2020년 기준 만 65세(1955년생) 생일이 속한 달의 이전 달까지]
근로능력이 없는 수급자
-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조 제2호의 규정에 따른 중증장애인(1급~3급)
- 질병 · 부상 또는 후유증으로 치료 또는 요양이 필요한 자 중에서 근로능력평가를 통해 시장 · 군수 · 구청장이 근로능력이 없다고 판정한 사람
- 20세 미만의 중 · 고교 재학생(재학증명서 제출)
- 「장애인복지법」 시행규칙 제2조 [별표1]에 의한 ‘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’
- 「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」 제14조 3항에 따른상이등급에 해당하는자 중 3급 이상의 상이등급 해당자
- 「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」 제7조에 따른 장기요양 1~5등급 판정자
- 등록된 산정특례자에 한해 희귀·중증난치질환자 및 암환자는 5년간, 중증화상환자는 1년(6개월 연장가능)간 근로능력평가 유예
- ※ 다만, 결핵질환은 기존 희귀난치성질환 산정특례 대상에서 ’16.7.1일부터 ‘결핵질환 산정특례’로 별도 분리. 등록기간동안 국민기초 1종 수급 및 근로능력평가 유예
판정방법
근로능력 판정 구비서류(최근 2개월 이내 발급된 근로능력평가용진단서, 최근 2개월분 진료기록부 사본, 필요시 소견서) 동 주민센터 제출
접수 -> 행복e음으로 국민연금관리공단에 근로능력평가를 요청 ->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의학적 평가 및 활동능력 평가 등 근로능력평가 결과를 행복e음을 통해 자치구로 통보 -> 자치구는 근로능력 판정결과를 신청인에게 통지
※근로능력평가 결과에 이의가 있는 경우 판정통지를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이의신청할 수 있음
자활사업 상담 및 신청
신청 및 상담 : 거주지 동주민센터 , 구청(생활보장과)
자활사업 수행기관 현황
구 직접시행사업
근로유지형 자활근로사업
- 사업내용 : 현재의 근로능력 및 자활의지를 유지하면서 향후 상위
자활사업 참여를 준비하는 사업 (도시환경정비사업 등)
- 참여대상 : 생계 의료급여 수급자, 자활급여특례자
인턴·도우미형 자활근로사업
- 인 턴 형 : 자활인턴사원으로 기업체에서 기술, 경력을 쌓은 후 취업을 유도하는 자활근로사업
- 참여대상 : 조건부수급자 및 희망참여자 (일반수급자, 자활급여특례자, 차상위자 등)
- 복지·자활도우미 : 사회복지담당공무원 업무수행 보조 지원
- 참여대상 : 조건부수급자 및 희망참여자 (일반수급자, 자활급여특례자, 차상위자 등)
- 사회복지시설도우미 : 사회복지시설(무료지원) 내 업무 보조인력
- 참여대상 : 조건부수급자 및 희망참여자 (일반수급자, 자활급여특례자, 차상위자 등)
2020년 자활근로인건비 지급 기준(원/인·일)
이 표는 2020년 자활근로인건비 지급 기준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. 구분, 시장진입형/기술·자격자, 사회서비스형/기술·자격자, 근로유지형 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구분 |
시장진입형/ 기술·자격자 |
사회서비스형/ 기술·자격자 |
근로유지형 |
지급액계 |
56,110/60,110 |
49,120/53,120 |
28,810 |
급여단가 |
52,110/56,110 |
45,120/49,120 |
24,810 |
실비 |
4,000 |
4,000 |
4,000 |
표준소득액(월) |
1,354,860 |
1,173,120 |
645,060 |
비고 |
1일 8시간, 주 5일 |
1일 8시간, 주 5일 1일 5시간, 주 5일 |
1일 5시간, 주 5일 |
※ 복지·자활도우미인턴형 급여는 시장진입형, 사회복지시설도우미는 사회서비스형 단가 적용
어등지역 자활센터(구청 직접운영)
일자리 창출을 통해 근로능력자에게 안정적인 소득활동의 기회제공과 일을 통한 저소득층의 탈빈곤 탈수급 지원
- 설 립 일 : 2011.6.14
- 대 표 자 : 박경언
- 연 락 처
- 전 화 : (062)941-5051
- 팩 스 : (062)941-5053
- 홈페이지 : www.edjahwal.gwangsan.go.kr
- 소 재 지 :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로85번길 25
- 찾아 오시는 길 : 광산중학교와 송우초등학교 앞 송정29, 봉선37, 첨단20, 송정196, 마을720, 마을720-1
어등지역 자활센터 자활근로사업
이 표는 어등지역자활센터 자활근로사업 프로그램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. 기관 유형 사업명 사업내용 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유형 |
사업명 |
사업내용 |
시장진입형(3) |
클린환경 |
학교, 아파트 등 상주청소 |
밥도둑반찬 |
제조업/반찬제조 |
한울타리주차장 |
공영주차장 관리 |
사회 서비스형(9) |
뷰밀베이커리 |
제조업/제과‧제빵 |
어등스마일세차 |
서비스/자동차콜세차 |
어등임가공 |
서비스/기타임가공 |
행복담은 |
소분업/소스, 냉동식품 |
한사랑간병 |
무료간병서비스 |
어등리폼 |
서비스·도소매/의류재활용‧수공예 |
딜라잇가든 |
음식업/카페 |
건강담은 |
제조업·소분업/누룽지·차(茶) |
과일담은 |
제조업/수제잼, 수제청 |
시간제형(1) |
어등테크노 |
제조업/종이가방제조 |
|
GateWay(희망모아) |
GateWay과정 |
자활기업(5) |
뷰밀 |
휴게음식업/제과·제빵 |
맑은세상협동조합 |
서비스/건물청소, 방역 |
The푸른환경 |
서비스/아파트, 빌라 청소용역 |
주식회사 깔끄미청소 |
서비스/관공서 청소용역 |
떡내음나는마을 |
즉석판매/떡류 |
청년자립도전(1) |
꿈드림 |
청년층 자격증취득 및 취창업 연계 |
광산지역 자활센터(민간위탁 운영)
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집중적 체계적인 자활지원서비스를 제공 자활 의욕 고취 및 자립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서의 역할 수행
- 설 립 일 : 2001. 7. 1
- 대 표 자 : 이정대
- 연 락 처
- 전 화 : (062)941-1634
- 팩 스 :(062)941-1635
- 홈페이지 : www.광산자활.com
- 소 재 지 :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로 1109(송정동 1124-23) /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아로 391, 3층(하남동 779)
- 찾아 오시는 길 : 하남동 홈플러스 건너편 위치 / 버스 신동사거리 하차 후 평동쪽으로 5분 도보 송정19,송정29,임곡90,송정93,송정96,송정97,송정98,송정99,송정100,송정197,임곡290,송정296
광산지역 자활센터 자활근로사업
이 표는 광산지역 자활센터 자활근로사업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. 유형 사업명 사업내용 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유형 |
사업단명 |
사업내용 |
시장 진입형(3) |
물갈음청소 |
아파트(상가) 청소사업추진 |
바로바로택배 |
양곡(정부양곡, 경로당) 위탁 배송 |
광산FOOD |
외식사업(가정식백반 및 분식판매) |
사회 서비스형(7) |
해맑은빨래방 |
운동화세탁 수거/배달 |
조은간병 |
무료간병서비스 |
광자다방 |
소촌점 |
매장운영과 전동카트를 이용한 커피 판매 |
흑석점 |
새물내음세탁 |
광산점 |
세탁물 세탁 및 수거배송 |
하남점 |
소촌점 |
블럭과장난감 |
블럭(레고 및 기타)을 이용한 놀이방 운영 장난감대여와 매장 운영 |
광산해피텍 |
전자부품 조립과 납품 |
행복나눔세탁 |
무료세탁 서비스 |
파일럿(1) |
늘품공방 |
각종생활용품 생산 판매 |
시간제형(1) |
광산임가공 |
전자부품 조립과 납품 |
|
GateWay과정 |
자활참여자 신규 상담/교육/개별 자활계획수립을 통한 자활경로 설정 |
자활기업(2) |
해맑은운동화-월곡점 |
운동화세탁 수거/배달 |
광산택배 |
양곡(정부양곡, 경로당) 위탁 배송 |
청년자립도전(1) |
청춘살이 |
청년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교육지원 및 사례관리 |
자산형성 지원사업
희망키움통장Ⅰ
- 신 청 :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
- 대 상 : 일하는 생계․의료수급 가구 중, 신청 당시 가구 전체의 총 근로소득(사업소득포함, 보장기관 확인소득 제외)이 기준
중위소득 40%의 60% 이상인 가구
- 지원내용 : 본인저축액 5/10만원+ 근로소득장려금 + 이자
- 지원시기 : 3년간 지원 후 탈수급 시 전액지급
희망키움통장Ⅱ
- 신 청 :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
- 대 상 :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인 주거․교육급여 수급 가구 및 기타 차상위계층으로서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가구
- 지원내용 : 본인저축액10만원+정부지원금10만원+이자 =약 720만원(3년만기)
- 지원시기 : 3년 만기 지급(가구별 소득기준, 교육이수, 본인저축 성실 이행 기준 충족 등)
내일키움통장사업
- 신 청 : 지역자활센터
- 대 상 : 1개월 이상 성실 자활참여자(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자활)
- 지원내용 : 내일키움장려금 + 내일키움수익금 + 내일근로장려금
- 지원시기 : 취 · 창업, 탈수급, 대학교 입/복학, 국가공인자격증 취득 시 전액지급(최대3년 지원후 만기, 중도지급)
청년희망키움통장
- 신 청 :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
- 대 상 : 일하는 생계급여 수급 청년(만 15세-39세) 중 신청 당시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30% 이하인 가구인 청년
- 지원내용 : 근로소득공제금 10만원(생계급여 중지시 미적립) + 근로소득장려금(*최대 523,000원)
- 지원시기 : 3년간 지원 후 생계급여 탈수급 시 전액지급
가사간병 방문 지원 사업
- 신청 :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
- 사업내용 :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저소득층 간병․가사 서비스제공
- 대상 : 만 65세 미만의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, 차상위계층 중 가사·간병 서비스가 필요한 다음의 자
- 1 ~3급 장애인, 6개월 이상 치료를 요하는 중증질환자, 희귀난치성 질환자,소년소녀가정, 조손가정, 한부모가정(법정보호세대)
- 서비스제공기관
이 표는 가사간병 방문 지원 사업 서비스제공기관을 정리한 표입니다. 기관명 사업명 연락처 비고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기관명 |
사업명 |
연락처 |
비 고 |
경애재가노인복지센터 |
광산구 사암로92번길 35-13 |
062-942-3399 |
|
다사랑요양복지센터 |
광산구 첨단월봉로 92, 2층 |
062-972-2299 |
|
다소미협동조합 |
광산구 월곡산정로12, 상가동 2층 203호 |
062-953-1260 |
|
동화재가노인장기요양센터 |
광산구 사암로 251, 403 |
062-952-8550 |
|
참뜻노인복지센터 |
광산구 우산로 55(우산동) |
062-946-2588 |
|
행복드림노인복지센터 |
광산구 송정공원로 34(소촌동) |
062-953-5006 |
|
- 신청방법 : 주소시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제공신청서, 진단서 및 의사소견서 제출
타 기관 연계 자활사업
취업성공 패키지사업
- 시행기관 : 광주지방노동청 광주광산고용복지+센터 2층 (062)960-3200, (F)0505-130-4011
- 찾아 오시는 길 :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대로154(월곡동679-11) / 첨단20, 첨단92, 첨단94, 송정33, 수완11,수완 12, 임곡98
- 홈페이지 : http://workplus.go.kr/gwangjugwangsangu
- 내용 : 저소득 취업취약계층에 대하여 통합적인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일자리, 실업급여, 복지 모두를 한곳에서 지원(광산구거주자)
- 참여대상 : 저소득층 가구의 18세이상 69세미만의 미취업자
- 신청서류 : 주민등록등본, 건강보험카드(의료급여증), 최근 3개월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(수급자제외)
- 지원혜택 : 취업(창업)성공수당 150만원지급(고용촉진지원금 대상임)
- 참여신청 : 동 주민센터(수급자), 일반인(광산고용복지+센터)